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3)
파이썬으로 업무 자동화까지(1) 웹 크롤러 만들기¶우리는 항상 매번 반복적인 업무들을 하며 무의미한 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습니다. 특히 어떤 트랜드를 조사하거나 동향을 살펴보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 하는 경우, 각각의 자료들을 우리가 한땀 한땀 엑셀에 정리해 나가면서 자료를 수집하고, 그에 대한 동향을 살펴보고, 결론을 내기까지에 있어서 "내가 왜 이걸 하고 있지"라며 회의적인 생각이 드는 순간이 바로 자료를 수집하는 과정이 아닐까 생각이 됩니다. 요즘 유튜브나 MOOC같은 온라인 학습 과정 중에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는 핫한 교육들이 바로 "업무 자동화"인데요, 이는 앞서 말했던 반복적이고 노동집약적인 자료 수집 부분이 가장 큰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이러한 업무적인 관점이 아니라 저 개인적으로는 다양한 상황에 ..
자주 사용하는 수학들(1) - 두 선분의 교점 구하기 Intro 안녕하세요, 서준이네입니다. 이렇게 첫번째 포스트로 인사를 드리게 되었네요. 이번 시리즈 "자주 사용하는 수학들"은 제가 소프트웨어 개발을 하면서 마주치게 되었던 다양한 수학적인 문제들에 대한 풀이와 구현과정을 스스로 잊지 않기 위해 시작되었습니다. "자주 사용하는 수학들"의 첫번째 글을 장식할 주제는 바로 두 선분의 사이의 교점입니다. 해당 내용은 중, 고등학교 교과과정에서도 다룰정도로 간단한 문제이지만 게임 개발에서도 활용될 정도로 유용한 내용입니다. 특히 많이 응용되는 것은 FPS게임과 같이 먼 거리에서 총을 쏘았을 때, 총알의 궤적이 플레이어의 몸을 맞추었는지 판단을 하는 히트 스캔 계산에서 입니다. Problem statement 그렇다면, 임의의 두 직선이 만나는 것을 어떻게 판단 ..
대신 읽어드립니다. 얼마 전 부터 책을 읽는 재미에 푹 빠지게 된 서준이네 입니다. 올해 시작과 함께 "1년 동안 12권만이라도 읽어보자"라는 누구나 한번쯤 해보았을법한 신년 계획을 세운지 어느덧 8개월이나 지났습니다. 그 동안 바쁘다는 핑계를 일삼으며 책을 누구보다도 멀리하고, 게임과 유튜브, 넷플릭스 삼매경에 빠져 무의미한 시간을 오랫동안 보냈습니다. 어느 날 문득 개발을 위해 다양한 종류의 기술 문서나 논문들을 읽고 있을 때, 글을 집중해서 읽어내는 능력이 너무 부족하다는 느낌을 받으면서 '공부'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점들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읽기 시작한 책들이 , , 그리고 이었습니다. 우선 이라는 책은 나름대로 굉장히 특별한 책이었습니다. 그 동안 책이라는 것은 일종의 보물과도 같아서 "수업 ..